본문 바로가기
함께 배움

<가짜뉴스>에 왜 유독 기독교인들이 놀아나는가

by 농민만세 2018. 1. 15.

<가짜뉴스>에 왜 유독 기독교인들이 놀아나는가

 

왜 기독교인들이 유독

<가짜뉴스>에 놀아나는가

 

그것은 아래의 기사 제목대로

가짜뉴스들이 대부분

<혐오>를 부추기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지금까지의 한국기독교가

바로 그 혐오라는 것을 이용하여

제 몸집을 불려왔기 때문이다

 

한국 개독교(개신 기독교)는

책임지지 않을 애매모호한

거짓 망상 초월주의를 교인들한테만 강조하고

 

어차피 지들도 그리 살 수 없는

배타적 이원론적 세계관을 이용하여

헌금 수납을 증대시켜 왔다

 

저들이 소위 반공주의에 매달리는 이유다

분단 상황의 대한민국에서

요즘은 사탄 마귀 타령도 먹히지 않으니

 

소위 반공 우파 숭미주의 등으로

미필적 적대적 대상들을 대량 상정하고

혐오와 대결과 분쟁을 조장시키며

 

높여놓은 교회당 담벼락 안에서

합법적인 종교활동이라는 명분으로

무지한 교인들의 돈을 갈취하는 권력맛이 최고!

 

너희가 이 맛을 알아? 하는

더럽고 추잡한 단 하나의

목표를 잘도 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저들의 반공주의는

무슨 애국도 이념도 아닌

추잡스런 종교사업 아이템일 뿐이다

 

아이고, 이게 다

사람 되길 거부하고 있는 대다수

누이 좋고 매부 좋아

 

어른 되는 건 싫다고 돈 갖다 바쳐주는

그런 쓰레기 교회와 목사놈들을 숭배하며

바른소리 하는 교인을 혐오하고


두려워하면서

교회에서 배척하는 한심한

교인이란 자들 탓이다

 

진정한 보수 우파는 철저하게

자국의 국익과 자존심 그리고

공적 정의를 최우선하는 이들이다


말하자면, 아래와 같은 분들!


바로 그것을 위해 극단적인

수단 방법 가리지 않는 이들을

소위 극우라고 하지


우리나라의 우파 보수 또는 극우는

이제 없어

매국 기회주의 인간 아닌 것들 뿐


하긴 제대로 된 진보 좌파도 없지

그건 필연적으로 아나키즘이니

요즘에 그 누가 그렇게 살려 할까


그런데 보수 우파란 말을

내가 이렇게

우호적으로 쓸 줄이야! ~



 

혐오 부추기는 '가짜뉴스'와의 전쟁…독일 이어 프랑스도 금지법안

 

기사입력2018.01.04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검증되지 않고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이른바 '가짜뉴스(FakeNews)'를 막기 위한 전쟁이 각 국에서 본격화하고 있다. 올 들어 독일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상 혐오발언과 가짜뉴스를 차단하기 위한 법안이 첫 시행된 데 이어, 프랑스도 조만간 관련 법을 마련하기로 했다. 과거 '아랍의 봄'을 이끌었던 SNS와 인터넷이 정치적 혐오와 반목을 부추기기 위해 교묘하게 편집된 가짜뉴스의 통로로 변질되면서 그 폐해가 커지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영국 일간 가디언 등에 따르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3일(현지시간) 엘리제궁에서 진행된 신년연설에서 "자유민주주의를 위협하는 가짜뉴스가 확산되는 것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법을 조만간 내놓겠다"고 밝혔다.

 

이 법안은 허위사실 등이 포함된 뉴스와 관련 플랫폼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온라인 웹사이트 상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투명성을 높이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특히 선거기간의 경우 당국이 허위사실이 포함된 내용을 삭제하거나 해당 웹사이트를 차단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안까지 검토된다. 마크롱 대통령은 "명확한 규칙이 필요하다"며 "'수천개의 사회적 미디어 계정으로 연결된 과장 선전'에 맞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조치는 몇해 전부터 특정 정당이나 후보에게 유리한 여론을 형성하기 위해 온라인 상으로 검증되지 않은 허위뉴스들이 형성, 유포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어서다. 마크롱 대통령은 지난해 프랑스 대선 당시 조세회피 의혹에 휘말렸으나 조작된 문건으로 확인됐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역시 총선을 앞두고 테러 현장에서 난민과 엄지손가락을 치켜들고 찍은 듯한 합성사진이 트위터에 퍼지며 구설수에 오른 바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영국, 프랑스, 미국의 선거과정에서 SNS를 통해 퍼진 가짜뉴스가 잘못된 캠페인이 돼 문제화된 경우가 늘고 있다"고 보도했다. 뉴욕타임스는 예일대의 연구를 인용해 "연령대가 높고 교육수준이 낮은 유권자들이 특히 가짜뉴스에 취약하다"며 "페이스북 등은 가장 자주 가짜뉴스 사이트로 이동되는 플랫폼으로 파악됐다"고 전했다. 일부 팩트만을 과장해 정치 ·종교적 반목을 유발하는 게시물이 확산되며 사회적 분열도 심화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미 각국은 가짜뉴스의 폐해를 인지하고 있다. 독일은 세계 최초로 지난 1일부터 가짜뉴스나 테러를 조장하는 게시물을 방치하는 소셜미디어기업에 최고 5000만유로(약 640억원)의 벌금을 물리는 법안을 시행하고 있다. 유포자뿐 아니라 페이스북, 트위터 등 SNS 플랫폼 기업까지 규제함으로써, 이들 기업이 관련 내용을 모니터링하도록 책임을 지운 것이다. 다만 이 같은 조치가 표현의 자유를 막을 수 있다는 비판도 따라 붙는다. 이날 마크롱 대통령과 대선에서 맞붙었던 극우 성향의 마린 르펜 국민전선(FN) 대표는 자신의 트위터에 "뉴스가 가짜인지 누가 결정하냐?"며 "재판관? 정부?"라고 반문했다.

 

한편 자신에게 비우호적인 매체들을 무조건 가짜뉴스로 싸잡아 비난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오는 8일 자체적인 '가짜뉴스 시상식'을 예고한 상태다. 그는 전일 트위터에서 "가짜뉴스 매체들의 다양한 분야에 걸쳐 부정직하고 나쁜 보도들을 주제로 다루겠다"며 "계속 지켜보라"고 언급했다.

 

NYT는 "가짜뉴스라는 용어 자체가 정치인과 대통령이 저널리즘을 비판하기 위해 사용하는 단어로도 바뀌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공산당 지도부는 이날 북한이 추가 핵실험을 중단하면 경제ㆍ군사적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는 내용의 미국 매체 보도를 '가짜뉴스'라고 평가하며 "상식이 조금이라도 있는 사람이라면 문건이 위조됐다는 것을 알아볼 수 있다"고 강하게 반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