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민신학연구소

[농민신학(農民神學/소작농신학/The Peasantry Theology)] 이제야 구글링 시작~

by 농자천하/ 2025. 2. 24.

'농민신학'(農民神學/소작농신학/The Peasantry Theology)]
관련 구글 검색~
이제 처음 시작해 본다
오, '농민신학'을 고민한 이들이
이미 있었군  역시
해 아래 새 것은 없지

그러니 이 후로는
'나의 농민신학'이라고 해야겠군

그런데 또 한 번
놀란 건

나의 농민신학은
#농민에 의한 농민의 신학
이라고 적어 놓고 보니
박동현 교수가 이미 언급하였고
#농민신학은 주경야독이어야
바로 해 나갈 수 있다고 했더라능ㅎ,ㅎ
뭐 당연지사이고
역시 해 아래 새 것은 읎엌ㅋㄱ

여튼 앞서준 이들께 감사😊

농민신학; 찰스 R.아빌라, 1976년

필리핀 농민신학자 찰스 아빌라 박사 “땅은 공동의 것… 기독인이 불평등 고리 끊어야”-국민일보

신학이 농민에게 할 말이 있는가 (박동현; 기독교 사상, 1994.10.)

 

몇 년 전에
한국농신학연구소(한경호 목사) 선배가
보내주신 '농신학' 관련 도서들은
생계노동으로 하루하루
영혼육신이 느무느무 벅차서리ㅜ
이제서야 손이 닿게 꺼내 놓음ㅠ0ㅋㄱ

"우리는 저 갈릴리 농사꾼에게서 하늘을 본다"


얏호~ 갈릴리 예수님 찬미!!

#농민신학
#농민신학연구소
#농민에 의한 농민의 농민신학

https://home.catholic.or.kr/pdsm/bbs_view.asp?num=688&id=132736&type=S&SORT=W&Page=35&menu=4805

 

[농민사목] 피로사회 탈출, 귀농: 아버지는 농부이시다

[농민사목] 피로사회 탈출, 귀농: 아버지는 농부이시다

home.catholic.or.kr:443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27170774

 

동학운동의 관점에서 살펴본 누가의 청지기 비유의 공공행복 원리 연구 - 학지사ㆍ교보문고 스

동학운동의 관점에서 살펴본 누가의 청지기 비유의 공공행복 원리 연구 의 이용 수, 등재여부, 발행기관, 저자, 초록, 목차, 참고문헌 등 논문에 관한 다양한 정보 및 관련논문 목록과 논문의 분

scholar.kyobobook.co.kr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653363

 

죽어가는 농민들을 살려내자 | DBpia

| 한국여성신학 | 2005.12

www.dbpia.co.kr

https://www.kmib.co.kr/article/viewDetail.asp?newsClusterNo=01100201.19940524000002201

 

「바실농」 전북 임실 신앙공동체/농민신학 새장 열었다-국민일보

◎성공사례 발표… 신학적 개념정립/13가구 24명 「농촌발전·선교」4년째/유기농법·공동출하로 마을에 “활력”난마처럼 얽혀 있는 농산물의 유통구조에 생산자가 직접 뛰어들어 질좋은 농산

www.kmib.co.kr

https://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225735

 

농민 세우고 농촌 살리는 교회

[그림으로 만나는 한국교회] 완주 율곡교회

www.newsnjoy.or.kr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867509

 

농민의 의식구조의 변천과 이농 | DBpia

| 신학전망 | 1979.9

www.dbpia.co.kr

https://www.catholictimes.org/article/202102250052919

 

[일요한담] 흙의 신학 / 양한모 ⑤

고속도로를 달리노라면 길 양쪽의 농가는 스레트 기와 양철 등으로 지붕을 입힌 위에 자색 붉은색 푸른색으로 칠하여 겉보기에는 참으로 아름답고 평화스러워 보인다. 얼마나 농민들의 생활이

www.catholictimes.org

https://e-donghak.or.kr/archive/?menu=134&mode=view&no=3150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e-donghak.or.kr

https://m.pckworld.com/article.php?aid=1120985669&page=724

 

나는이렇게생각한다/  영성 훈련과 노동 겸한 신앙 전통 되살리자

본 교단에 속한 교회는 5천9백 여 교회이며 이중 2천7백64 교회가 농어촌교회이고 다시 1천5백10 교회(2000년 기준)가 미자립교회인데 그 기…

m.pckworld.com

https://home.catholic.or.kr/pdsm/bbs_view.asp?num=6&id=175415&menu=4805

 

[농민사목] 우리농촌살리기운동 25주년 특별 좌담: 도시와 농촌이 삶을 나누는 미래, 교회가 이끌

[농민사목] 우리농촌살리기운동 25주년 특별 좌담: 도시와 농촌이 삶을 나누는 미래, 교회가 이끌어야

home.catholic.or.kr:443

https://m.youtube.com/watch?v=xyKjwrKq3XE
https://m.shinmoongo.net/46994

 

[신문고] `루터`의 종교개혁과 `뮨처`의 민중신학

중세기에 있어서 유럽사회를 하나로 묶는 힘은 바로 로마 카톨릭교회가 보유하고 있는 교권의 전통적인 힘이었다. 세속 권력들이 분산되어 있는 유럽사회의 상황을 이용하여 로마 카톨릭교회

m.shinmoongo.net

https://mall.godpeople.com/apps_page/?G=9788951121500

 

[갓피플몰] 서인근 평전

 

mall.godpeople.com

https://mall.godpeople.com/apps_page/?key=%EB%84%88%EB%A5%B8%EB%A7%88%EB%8B%B9

 

[갓피플몰] 검색 결과

 

mall.godpeople.com

http://www.gogi.or.kr/?c=3/34&uid=4762

 

고기교회 - 루터에 대한 오해, 루터의 꿈, 루터의 한계

            루터에 대한 오해, 루터의 꿈, 루터의 한계 [인터뷰] 최주훈 목사가 곱씹는 농민전쟁과 두 왕국설, 루터가 꿈꾼 교회(뉴스앤조이) 지난 기사에서 최주훈 목사는 한국교회가 

www.gogi.or.kr

http://www.catholicworker.kr/news/articleView.html?idxno=5714

 

[동영상 강의 초대] 갈릴래아의 예수 - 가톨릭일꾼

오랜만에 제 신학적 삶의 궤적을 훑어보고 있습니다. 1987년, 유월 민주항쟁이 발생한 그해에 롤랑 조페 감독의 영화 은 영적 사건처럼 다가옵니다. 그해에 동무요 동지요 도반이었던 친구들과

www.catholicworker.kr

https://db.history.go.kr/contemp/level.do?levelId=nkhc_004_1060

북조선 로동당 강원도 인제군 농민 동맹 당조 제25차 회의록 : 한국사 데이터 베이스

https://www.dangdangnews.com/news/quickViewArticleView.html?idxno=1246
농민과 농촌을 통해 '농민신학'을 주창했던 홍기석목사 (당당뉴스)
 

https://m.newspower.co.kr/11300

 

[뉴스파워] "민정웅 목사님은 열악한 농민목회의 선각자"

고 민정웅 목사.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장로회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경기도 양주에 소재한 독바위교회를 34년간 목회한 농민목회자였다. 지난 22일 숙환으로 하나님 품에 안긴 고인의

m.newspower.co.kr

http://www.ktsi.or.kr/bbs/view.php?id=t_book&page=2&sn1=&divpage=1&sn=off&ss=off&sc=on&select_arrange=subject&desc=desc&no=33&PHPSESSID=1360a9a749ceccfa3f889f18f095bb72

 

도서안내

종교다원시대의 이스라엘과 한국교회 / 임태수 지음 신국판 / 384쪽 / 14,000원   제1부의 “구약성경의 관점에서 본 종교다원주의와 토착화”는 종교다원주의에 대해 비판 적인 고찰을       

www.ktsi.or.kr

구약성경에 나타난 이스라엘의 농업정책연구

https://www.catholi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297

 

농민 주일에 생각한다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뜻있는 분들의 착한 소비를 기다립니다. 평창 고랭지 무농약 양상추 1박스(약 8킬로그램) 만 원입니다. 직접 배송해 드립니다.”얼마 전 일이다. 강원도 가톨릭농민회 회원이 갑자기 판로가 막

www.catholicnews.co.kr

http://www.sermon66.com/news_print.html?s=index&no=61710
자리 못잡는 농촌목회자, 2002. 8. 8. — 농어촌교회는 농업농민들을...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