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민신학연구소/[농촌 농업 기후]

농업정책? 이 정도는 돼야! 선진농업국 독일

by 농민만세 2020. 9. 5.

http://m.dand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266

/ 단디뉴스

[정기석의 한국혁명]
‘먹고 사는 생활기술 직업학교’를


- 3-1. 교육, 학원에서 학교

중앙대 독문과 김누리 교수는 ‘한국 교육에서 꼭 없어져야 할 4가지’가 있다고 주장한다. 먼저, 대학입학시험이다. “모든 게 대학 입시로 수렴되어 버리기 때문에, 지식을 주입하는 걸 교육으로 착각, 아이들을 인간으로 가르칠 수가 없다”고 개탄한다.

대학의 서열구조도 없애야 한다고 강조한다. “한국은 대학의 서열 구조가 고착화되어 특히 학벌 계급 사회가 되어 버렸고, 그래서 병든 사회가 되었다”고 비판한다. “앞으로도 계속 대학 서열이 존재하면 한국 사회가 그야말로 인간이 살아갈 수 없는 그런 지옥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

대학 등록금도 없애라고 주문한다. “10조 정도만 있으면 되는데 정치적인 결단으로 풀 수 있는 문제인데 정부는 의지도, 철학도, 비전도 없어 안타깝다”고 탄식한다. 그리고 이른바 ‘한국의 특권학교’인 귀족고등학교 문을 닫아야 한다고 지적한다.

한국의 이 4가지 비정상적인 교육모델은 경제, 정치나 마찬가지로 역시 미국 모델을 맹목적으로 추종한 게 원인이라고 진단한다. 김 교수는 세계에서 가장 극단적으로 미국화된 나라가 한국이라고 보고 이 같은 현상을 ‘총체적 미국화’로 표현하는 것이다.

중략

또 독일의 정치교육은 선동가 판별, 불의한 권력에 맞서는 저항권 교육으로 초등학생들이 정의와 권리를 위해 시위를 하기도 한다. 독일 아이들이 죄책감을 갖는 영역이 '환경오염'으로, 환경을 위해 소비 포기 운동을 하는 학생들이 많을 정도로 생태교육이 이루어진다고 한다.

이러한 독일 교육은 빌리 브란트 정부에서 시작한 교육개혁, 즉 과거청산 교육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더 이상 아우슈비츠가 반복되어서는 안 된다’는 목표를 ‘비판 교육(Kritische Pidagogik)‘으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사회적 농부’는 11살부터

독일에서는 농부가 되려면 11살부터 농업학교부터 다녀야 한다. 한마디로 독일 농업의 생명력, 농촌의 저력은 ‘농부를 키우는 학교’인 이른바 ‘농업직업학교’가 뿌리이자 바탕이다. 농업이나 농촌 지원정책이 아니라, 바로 독일의 교육제도가, 학교가 오늘날의 ‘사람 사는 독일 농촌’을 만들고 지탱하는 원동력으로 보인다.

하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