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m.nongmin.com/news/NEWS/POL/ETC/343885/view
/ 농민신문
‘농업인 정의’ 어떻게? 미국 ‘적극적 농업 참여’ 따져 농정 혜택
농경연 ‘농업인 정의’ 보고서
개인은 연 1000시간 이상 노동
경영체는 판매액 등으로 판별
“국내 30년 된 개념 손봐야”
전략
미국에서는 별다른 제한 없이 농업정책의 혜택을 받으려면 ‘적극적으로 농업에 참여(Actively Engaged in Farming·AEF)’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미국 농업법상 AEF 요건은 개인·공동경영·기업 등 주체별로 다르다.
개인은 ▲농업경영에 필요한 자본·장비·농지와 적극적 노동 및 경영 제공에 상당한 기여 ▲농업경영의 결과 발생하는 이윤이나 손실이 생산요소 제공에 상응 ▲농업경영에 따르는 위험을 부담할 것 등이 기준이다. 이때 ‘적극적 노동’은 농지 준비나 재배·수확, 농산물 판매 등에 연간 1000시간 이상을 투입해야 인정받을 수 있다.
중략
또 미국은 농업통계 생산이나 과세 목적으로 ‘농업경영체’를 따로 정의한다. 미 농무부(USDA)·행정예산관리국·통계국은 1975년부터 연간 농산물 판매액이 1000달러(약 116만원) 이상인 농가를 농업경영체로 규정하고 있다.
기상이변이나 자연재해, 시장환경 변화로 판매액이 일시적으로 1000달러 아래로 떨어지면 작물 재배규모와 가축 사육마릿수로 농업경영체 여부를 판별한다.
미국 농업경영체 가운데 97%를 차지하는 ‘가족농’을 정의하는 기준도 있다. 가족농의 정의나 요건은 정부기관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가족 중심의 농업경영체 소유와 경영을 강조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보고서는 “미국 정부는 정책 대상을 구분하려는 의도보다는 농가 경제실태 파악을 위해 가족농의 정의와 요건을 규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략
'농민신학연구소 > [농촌 농업 기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산촌의 소멸'과 '재난 자본주의'의 그림자 (0) | 2021.09.08 |
---|---|
급증하는 생산비가 제품가격에 반영되지 않는 유일한 품목 (0) | 2021.09.03 |
생태농업 발전, ‘다양한 다양성’ 확보로 시작? 에헤이~ 충분한 문화적 생활 보장에서 시작돼야 지속가능하지!!! (0) | 2021.08.27 |
"농업은 하늘의 일이다" 보존농업, 지속농업, 재생농업의 길 (0) | 2021.08.16 |
친환경 유기인증의 순혈주의 한계, 순환농업의 길 (0) | 2021.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