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 피할 수 없는 기후재난 시대, 최우선의 피해는 농민과 가난한 민중들뿐 ]
한국농어민신문

https://www.nongup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98285
과수 꽃 저온 피해 줄이는 ‘통로형 온풍법’ 개발돼 - 농업인신문
대용량 농업용 온풍기 활용…대기 온도 2~3도 상승농업인들, “방상팬과 방풍벽도 효과 높아, 지원 필요” 농촌진흥청은 과일나무의 꽃 피는 시기에 발생하는 이상저온 피해를 줄이기 위해 50~60
www.nongupin.co.kr
예고된 인재 가뭄
하지만 농민 아니면 그 누가 걱정?
http://www.agri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7795
[기자수첩] 예고된 인재(人災), 가뭄 - 한국농어민신문
[한국농어민신문 송해창 기자] 여름이 다가오고 있다. 옷·가전·여행패키지 등 여름상품이 쏟아진다. 곳곳에서 여름 대비가 한창이다. 그러나 정부는 여름을 외면하는 듯하다. 여름을 맞지 않고
www.agrinet.co.kr
전략
최근 우리나라는 매년 ‘역대 최악’의 가뭄을 겪어 왔다. 매년 갱신되는 기록에 ‘역대’ 의미도 무색하다. 올해 또한 ‘역대 최악’의 가뭄이 높은 확률로 점쳐진다.
각종 수치가 이를 뒷받침한다. 기상청에 따르면 최근 6개월 전국 누적강수량은 216.4㎜로 집계됐다. 평년 261.0㎜의 82.7%에 불과하다.
저수율도 궤를 같이 한다. 한국수자원공사가 밝힌 4월 중순 전국 다목적댐의 저수율은 평균 36.5%다. 평년 44.6%, 전년 46.7%와는 큰 차이다.
기상청의 올해 5~7월 전망도 낙관적이지 않다.
하략

'농민신학연구소 > [농촌 농업 기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후정의파업] 생태학살 기후정책 비판, 기후위기 극복은 ‘자본’ 아닌 ‘생명’ 위한 계획으로서만 가능 (0) | 2023.05.01 |
---|---|
양곡관리법 개정논란이 남긴 것, 쌀과 물, 재해예방 없이 국가가 존속할 수 있는가 (0) | 2023.05.01 |
[현재 그리고 미래의 농업] 전체 보기,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0) | 2023.04.28 |
2023 농기계 박람회? 문제는 이게 다 돈이라는 거, 경운기 구조변경이나 합법화 해라 (0) | 2023.04.14 |
고추 농사, 아주 심기가 다수확 지름길? (0) | 2023.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