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민신학연구소/[갈릴리 밥상 공동체]

초록,목차, "한마음교회의 지역사회선교와 자활 밥상공동체"

by 농민만세 2020. 7. 3.

[ 박사학위 논문 / 표지, 초록, 목차 ]

 

한마음교회의 지역사회 선교와 자활 밥상 공동체

LOCAL COMMUNITY MISSION OF THE HANMAEUM CHURCH AND THE SELF-SUPPORT BAPSANG COMMUNITY

 

 

Abstract of the Dissertation

한마음교회의 지역사회 선교와 자활 밥상 공동체
LOCAL COMMUNITY MISSION OF THE HANMAEUM CHURCH AND THE SELF-SUPPORT BAPSANG COMMUNITY

by
JIN LEE

Galilee School of Theology:2017


본 논문은 전형적인 농촌교회로서 가용 자원이 크게 부족한 한마음교회와 담임목사인 논자가 지금껏 지역사회를 선교해 온 과정과 현재에 희망하고 있는 일들에 대한 연구이다. 이러한 일련의 노력들은 ‘선교적 목회’라는 용어로 표현되는데 이는 비단 ‘교회’만을 목회하는 기존의 목회 패러다임을 넘어 교회가 속한 지역사회 곧 ‘마을’을 목회적 자세로 대하는 일이다. 하지만 이는 지역사회를 기독교화 시키겠다는 제국주의적 정복주의 선교가 아니다. 우리의 희망은 자신의 형체는 포기하고 세상의 맛 곧 세상살이의 맛을 내는 소금이 되는 보람과 희열을 함께 누리게 되는 일인데 이것이야말로 우리가 ‘가장 친애(親愛)하는 분’인 우리의 그리스도 예수께서 우리에게 바라시는 일이라고 여긴다.

이에 우리는 마침내 지역사회 속에서 정의와 평화와 생명의 밥상을 사회적 필요에 따라 차려내는 예수의 ‘오클로스’가 되기를 갈망하면서 자주ㆍ자활ㆍ자전의 ‘남면-한마음-성만찬-예수교회’가 되어가는 길을 찾고 있다. 이를 위하여 지금 한마음교회가 우선 자신의 힘으로 해낼 수 있는 가장 실질적이고 성서적인 대안, ‘갈릴리 예수의 생명 밥상 공동체 운동’을 목표지점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이는 우리 자신에게는 갈릴리 예수의 사람으로 살자는 신앙운동이며, 마을목회를 지향하면서 길을 함께 찾아가고 있는 동역자들에게는 하나의 격려의 목소리가 되길 바라고, 또한 이처럼 쉽지 않은 길을 이어가기 위해 자신의 길을 찾고 있는 이들에게는 작은 하나의 이정표로 기여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TABLE OF CONTENTS

서 론 ㆍ 1

1. 연구 범위 및 목적 ㆍ 1

2. 논문의 구성 ㆍ 2

제 1 장  한마음교회와 지역사회 선교 ㆍ 4

 1.1. 지역사회와 한마음교회 현황 ㆍ 4
  1.1.1 태안군 남면 소재 ㆍ 4
  1.1.2. 태안군의 귀농 귀촌인 ㆍ 6
  1.1.3. 한마음교회 ㆍ 10
  1.1.4. 한마음교회에서의 목회 ㆍ 11
   ⑴ 부임 초기 4년의 고군분투 (2001~2005) ㆍ 11
   ⑵ 이후 6년간의 와신상담 (2006~2011) ㆍ 13
   ⑶ 마을목회 준비 3년 (2012~2014) ㆍ 15
   ⑷ 마을목회 3년 차 (2015~2017 현재) ㆍ 16

 1.2. 교회와 세상의 사이에서 ㆍ 20
  1.2.1. 한마음교회와 지역사회의 질문 ㆍ 20
  1.2.2. 현장의 요청에 대한 목회적 응답 ㆍ 24
  1.2.3. 선교적 목회 리더십 ㆍ 25
  1.2.4. 사회적 문제 해결사(social solutionist) ㆍ 30

 1.3. 우리가 경계하는 것들 ㆍ 33
  1.3.1. 초월보다 내재(內在) ㆍ 33
  1.3.2. 굴종(屈從) 아닌 주체적 실천 ㆍ 35
  1.3.3. 남의 이야기 아닌 우리 이야기 ㆍ 37

 1.4. 우리가 주시하는 것들 ㆍ 39
  1.4.1. 한국교회의 한계상황 ㆍ 39
  1.4.2. 패러다임의 전환 ㆍ 41
  1.4.3. 작은교회운동 ㆍ 42
  1.4.4. 마을목회운동 ㆍ 43
  1.4.5. 일하는 목회자들 ㆍ 46

제 2 장  우리의 밥, 밥상(床), 밥상 공동체 ㆍ 51

 2.1. The Bapsang Community ㆍ 51

 2.2. ‘해원(解寃)떡’ ㆍ 53

 2.3. 시향(時享), 시제(時祭) ㆍ 55

 2.4. 해월 최시형의 밥 ㆍ 57

 2.5. 다석 유영모의 밥과 밥상 ㆍ 59

 2.6. 오늘의 밥, 밥상 신학 ㆍ 63
  2.6.1. 밥상 공동체 ㆍ 64
  2.6.2. ‘우리’에게 매일 필요한 밥을 주소서 ㆍ 67
  2.6.3. 우리의 밥상을 지배하는 자 ㆍ 68
  2.6.4. 불의하고 위험한 제국의 밥상 ㆍ 71

제 3 장  성서의 밥과 밥상 공동체 ㆍ 76

 3.1. 성서의 밥과 밥상 ㆍ 76
  3.1.1. 하비루, 히브리 사람들 ㆍ 76
  3.1.2. 무리, 오클로스(Οχλος) ㆍ 79
  3.1.3. ‘세리와 죄인들의 친구’ ㆍ 82
  3.1.4. ‘먹기를 탐하고 포도주를 즐기는 이’ ㆍ 85

 3.2. 제국의 밥상과 대안(代案) 공동체 운동 ㆍ 89
  3.2.1. 제국 로마의 성공과 몰락 ㆍ 90
  3.2.2. 반(反)제국주의 대안(代案) 운동 ㆍ 93
  3.2.3. 예수의 대안 공동체 운동 ㆍ 95
  3.2.4. 바울의 대안 공동체 운동 ㆍ 99

 3.3. JPIC 코이노니아와 밥상 ㆍ 101
  3.3.1. JPIC 세계대회의 배경 ㆍ 101
  3.3.2. JPIC 세계대회의 선언 ㆍ 102
  3.3.3. JPIC의 선언과 실천 ㆍ 103
  3.3.4. 코이노니아와 밥상 ㆍ 104

 3.4. 정경호 교수의 ‘생명 밥상신학’ ㆍ 105
  3.4.1. 마을목회, 귀농인목회 - 사랑과 환대의 밥상 ㆍ 108
  3.4.2. 한마음살림협동조합, 사회적기업 - 일용할 생명의 밥상 ㆍ 114
  3.4.3. 햇살가득 체험농장 - 헌신과 구원의 밥상 ㆍ 118
  3.4.4. 마을 활력소 - 해방과 정의의 밥상 ㆍ 121

제 4 장  한마음교회 자활(自活) 공동체 ㆍ 126

 4.1. 한마음교회의 삼자(三自) ㆍ 126
  4.1.1. 농촌교회의 주체적 자립 ㆍ 126
  4.1.2. 근대 중국교회의 자립운동 ㆍ 129
  4.1.3. 중국 삼자운동과 네비우스 선교원칙 ㆍ 131
  4.1.4. 근대 한국사회와 한국교회 ㆍ 134
  4.1.5. 자주적 교회의 가능성 ㆍ 136
  4.1.6. 한마음교회의 삼자(三自) ㆍ 141

 4.2. ‘남면, 한마음, 성만찬, 예수교회, 공동체’ ㆍ 144
  4.2.1. 태안군 남면의 교회 ㆍ 146
  4.2.2. 한마음 예수교회 ㆍ 148
  4.2.3. 성만찬 밥상 교회 ㆍ 150
  4.2.4. 예수 공동체 교회 ㆍ 152

제 5 장  “우리의 우물에서 생수를 마시련다” ㆍ 154

 5.1. “인간교(人間敎)에서 예수교로” ㆍ 154

 5.2. “우리는 예수교다!” ㆍ 155

 5.3 “참으로 사람이고자!” ㆍ 158

결 론 ㆍ 161

참고 문헌 ㆍ 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