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신학연구소/[갈릴리 밥상 공동체]20 제 3 장 성서의 밥과 밥상 공동체 - 3.1. [ 제 3 장 성서의 밥과 밥상 공동체 / 3.1. 성서의 밥과 밥상 ] 한마음교회의 지역사회 선교와 자활 밥상 공동체LOCAL COMMUNITY MISSION OFTHE HANMAEUM CHURCH ANDTHE SELF-SUPPORT BAPSANG COMMUNITY제 3 장 성서의 밥과 밥상 공동체 이상과 같이 성서로 들어가기에 앞서 우리 고유의 정서와 풍토와 의식 속에서 이미 발전되어 온 우리의 밥과 밥상에 대해서 그리고 하늘의 자비로 모든 이에게 주어져야 하는 밥상을 독점 악용함으로써 하늘을 대행하려는 불의한 밥상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우리에게 있어서 밥과 밥상은 놀랍게도 이미 화해와 연대와 평화 그리고 우리의 현세 속에 스스로 품겨 있는 하늘과 그에 대한 적대적 도전에 관한 통찰이었고, 그것은.. 2020. 7. 18. 제 2 장 우리의 밥, 밥상(床), 밥상 공동체 - 2.6. [ 제 2 장 / 2.6. 오늘의 밥, 밥상 신학 ] 한마음교회의 지역사회 선교와 자활 밥상 공동체LOCAL COMMUNITY MISSION OFTHE HANMAEUM CHURCH ANDTHE SELF-SUPPORT BAPSANG COMMUNITY2.6. 오늘의 밥, 밥상 신학 한마음교회가 지금 당장 실천해 갈 수 있는 성서적 대안이라고 논자가 제안하고 있는 이 ‘밥상 공동체’를 위하여 앞으로도 ‘외래 언어’인 ‘기독교 용어’들보다 지금껏 살아온 마을 속의 언어 곧 ‘이 땅의 언어’에 더 익숙한 원주민 교인들과 마을 주민들의 더 많은 이해를 돕기 위해 노력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오늘 우리 현실에서의 밥과 밥상을 조금 더 살펴본다. 최시형이나 류영모 이후, 밥에 대한 사회적 철학적 통찰을 이.. 2020. 7. 17. 제 2 장 우리의 밥, 밥상(床), 밥상 공동체 - 2.1. 2.2. 2.3. 2.4. 2.5. [ 제 2 장 우리의 밥, 밥사, 밥상(床) 공동체 / 2.1. The 'BapSang' Community / 2.2. '해원(解寃) 떡' / 2.3. 시향(時享), 시제(時祭) / 2.4. 해월 최시형의 밥 / 2.5. 다석 유영모의 밥과 밥상 ] 한마음교회의 지역사회 선교와 자활 밥상 공동체LOCAL COMMUNITY MISSION OF THE HANMAEUM CHURCH AND THE SELF-SUPPORT BAPSANG COMMUNITY제 2 장 우리의 밥, 밥상(床), 밥상 공동체 ‘하늘에만 있는 하느님’ 또는 ‘하늘만 위하는 하늘’의 이야기라면 그것이 과연 오늘의 우리와 무슨 상관이 있다는 것인가? 더구나 ‘하늘을 위하는 땅’이라거나 ‘땅을 위하는 땅’의 이야기라 해도 결국 그것은 우리를 소.. 2020. 7. 16. 제 1 장 한마음교회와 지역사회 선교 - 1.3. 1.4. [ 제 1 장 / 1.3 우리가 경계하는 것들 / 1.4 우리가 주시하는 것들 ] 한마음교회의 지역사회 선교와 자활 밥상 공동체LOCAL COMMUNITY MISSION OF THE HANMAEUM CHURCH AND THE SELF-SUPPORT BAPSANG COMMUNITY1.3. 우리가 경계하는 것들 이처럼 교회의 울타리를 넘어 마을 곧 지역사회로 나아가 마침내 그 울타리를 걷어냄으로써 ‘마을을 교회 삼고, 주민을 교우 삼는’42) 그야말로 선교와 목회의 경계를 허물어버리는 일에 도전하는 목회자와 교회가 되기 위하여 논자와 한마음교회가 계속하여 나누고 있는 이야기는 이런 것들이다. “지역사회에 떳떳하고 자랑스러운 교회 되기!” “자식들한테 자랑하고 지역주민들이 참여하고 싶어 부러워하는 교회 .. 2020. 7. 15. 제 1 장 한마음교회와 지역사회 선교 - 1.2. [ 제 1 장 / 1.2 교회와 세상의 사이에서 ] 한마음교회의 지역사회 선교와 자활 밥상 공동체LOCAL COMMUNITY MISSION OFTHE HANMAEUM CHURCH ANDTHE SELF-SUPPORT BAPSANG COMMUNITY1.2. 교회와 세상의 사이에서 이상 한마음교회에서의 목회 활동 중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은 단순히 어떤 가시적 성과를 이루었다는 것이 아니라, 한마음교회를 매우 강하게 배척하면서 적대적 대상으로 여기며 지탄하던 지역사회에 대해 제한된 자원의 한 농촌교회와 논자가 어떻게 대처해야 했는가 하는 것이다. 이런 현장의 상황 속에서 가장 큰 어려움은 논자가 한 사람의 평범한 목회자로서 “나는 일반 목회자가 아닌 미전도 종족 선교사이다”라고 끊임없이 자신을 각성시켜야 .. 2020. 7. 14. 제 1 장 한마음교회와 지역사회 선교 - 1.1. [ 제 1 장 한마음교회와 지역사회 선교 / 1.1 지역사회와 한마음교회 현황 ]한마음교회의 지역사회 선교와 자활 밥상 공동체LOCAL COMMUNITY MISSION OFTHE HANMAEUM CHURCH ANDTHE SELF-SUPPORT BAPSANG COMMUNITY 제 1 장 한마음교회와 지역사회 선교 서론에서 밝힌 바와 같이 본 논문의 내용은 ‘지난 40여 년 동안 250여 명의 세례교인을 도시로 내보내고 현재 30여 명의 농촌교회로 겨우 남아 있는 한마음교회가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선교적 과제들을 실천해 나가는 교회로서 지역사회 선교를 어떻게 지속시킬 수 있을 것인가’에 한정된다. 어떤 새로운 이론이나 한국 농촌교회에 대한 무슨 거창한 대안을 제시하려는 것이 아니다. 그러기에는 우리의 여.. 2020. 7. 13. 서론, " 한마음교회의 지역사회 선교와 자활 밥상 공동체 " [ 서론 / 1. 연구 범위 및 목적 / 2. 논문의 구성 ] 한마음교회의 지역사회 선교와 자활 밥상 공동체LOCAL COMMUNITY MISSION OFTHE HANMAEUM CHURCH ANDTHE SELF-SUPPORT BAPSANG COMMUNITY서 론 1. 연구 범위 및 목적 이 연구에서 논자(論者)가 밝히고자 하는 바는 농촌의 한 지역사회에 있는 ‘한마음교회’가 이대로 사라지지 않고 지역사회를 ‘세상의 맛’, 사람 살 맛이 나는 마을로 함께 일구며 살아가는 교회로 자리매김하려는 매우 현실적인 방안들이다. 어떤 새로운 신학적 목회적 이론을 제기하거나 한국 농촌교회의 미래에 대한 무슨 방안을 제시하려는 것이 아니다. 그러기에는 논자와 한마음교회의 현재 상황이 지나치게 속(俗)되고 실제적이다.. 2020. 7. 3. 초록,목차, "한마음교회의 지역사회선교와 자활 밥상공동체" [ 박사학위 논문 / 표지, 초록, 목차 ] 한마음교회의 지역사회 선교와 자활 밥상 공동체LOCAL COMMUNITY MISSION OF THE HANMAEUM CHURCH AND THE SELF-SUPPORT BAPSANG COMMUNITY Abstract of the Dissertation한마음교회의 지역사회 선교와 자활 밥상 공동체LOCAL COMMUNITY MISSION OF THE HANMAEUM CHURCH AND THE SELF-SUPPORT BAPSANG COMMUNITYbyJIN LEEGalilee School of Theology:2017본 논문은 전형적인 농촌교회로서 가용 자원이 크게 부족한 한마음교회와 담임목사인 논자가 지금껏 지역사회를 선교해 온 과정과 현재에 희망하고 있는 일들.. 2020. 7. 3.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