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837

윤석열 장모 사건, 총정리,, 검찰개혁, '기소권 독점'이라는 이 어이없는 미개 사회의 잔재 https://youtu.be/lpFKM6hC3YA https://youtu.be/SZzRTxs7OcQ https://youtu.be/lSt5koIIpIg 2020. 5. 1.
[포스트 코로나] 도시화, 금융화, 지구화, 다 무너진다 [포스트 코로나] 도시화, 금융화, 지구화, 다 무너진다 https://youtu.be/AY6zCCt5Swk 2020. 5. 1.
[한마음 칼럼] 나는 왜 농목으로 사는가 35 한마음 칼럼 : “농목으로 사는 이유” 교회나 교회 아이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일들을 가장 우선하여 망설이지 않고 최선을 다해 쏟아부었지만 지나고 보면 그것이 썩 잘한 일만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는 것은 안타깝지만 사실이다. 누구에게 무엇이든 베풀고 도울 때는 그 대가를 전혀 한 점도 바라지 않고 해야 한다는 말도 그래서 하는 것 같다. 그 아이가 자라서 어느덧 고등학교를 졸업하게 되었는데 더 이상의 무슨 꿈도 도전도 없게 보였고, 앞으로 무얼 하고 싶냐고 물어봐도 그냥 고개만 가로저을 뿐이었다. 의욕이라고는 전혀 없어 보여 일단 무슨 일에든 자신감을 느끼도록 도와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물어보니 그래도 부모의 도움으로 자동차 운전면허를 취득했다고 해서 교회 승합차로 운전 연습을 나가 보았다. 교회 집.. 2020. 5. 1.
[강의] 6차 산업 스토리텔링 프로젝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 정기석 6차 산업 스토리텔링 프로젝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강의 / 정기석 소장 1강 https://youtu.be/I2NFq6iHBNY 2강 https://youtu.be/8ieEvcRt1BE 3강 https://youtu.be/kmyiQaTtyFc 4강 https://youtu.be/qBcZzb2MEXI 유튜브 채널 : 마을연구소, Commune Lab https://www.youtube.com/channel/UC9DfUOeZ47PQM7alAKh4_2w 마을연구소Commune Lab www.youtube.com 2020. 4. 30.
리치맨 트리오(Richiman Trio) 오랜 만에 공연 리치맨 트리오(Richiman Trio) 오랜 만에 공연 아오~ㅜ,ㅜ 한 시간 이내 거리만 돼도,,,, ㅋ,ㅋ https://youtu.be/nBsne9UuVzI 2020. 4. 30.
쓰레기 검찰-언론 유착,, 정말 웃기고 있다, 추잡한 ㅅㄲ들, 국민을 개 돼지로 알아 쓰레기 검찰-언론 유착,, 정말 웃기고 있다 추잡한 ㅅㄲ들, 국민을 개 돼지로 알아 2020. 4. 30.
한국인들이 모르는 트럼프의 미국 http://repoact.com/bbs/board.php?bo_table=free&wr_id=141 트럼프가 남북통일의 물꼬를 틀거라고? 한국인들이 모르는 미국의 변화 /리포액트 한반도의 중요한 문제들을 결정하고 논의하는 미국 정부의 관료들이 정확히 어떤 사람들인지 소개하는 한국 언론보도를 찾기 어렵습니다.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미국 석유재벌의 꼭두각시라는 사실을 우리는 잘 모릅니다. 해리 해리스 주한 미대사가 외교관이 아닌 친일 군인 출신이라는 것도 우리는 잘 모릅니다. 미 국무부 한반도과의 공무원들중 한국어를 할 줄 아는 사람이 하나도 없다는 사실도 우리는 잘 모릅니다. 트럼프 행정부에서 제대로 된 동아시아 전문가들이 얼마나 많이 떠나갔는지 우리는 잘 모릅니다.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교수는 한반도.. 2020. 4. 28.
코로나19 시대 식량위기론, 문제는 '식량접근성'이 떨어지는 취약계층 http://m.agri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6478 코로나 발 식량위기론? 문제는 ‘접근성’…취약계층부터 살펴야 - 국회입법조사처 김규호 입법조사관 전략 식량 수출 제한·중단 잇따르자 FAO ‘빈곤·취약계층 타격’ 우려 최근 세계 곡물재고율 30.4% FAO 권장 17~18% 훨씬 상회 “종전 식량위기 때와는 달라” 취약계층 영양 실태 면밀 분석 늘어날 실업자 등 염두에 둬야 농촌 ‘외국인 근로자’ 수급 대책 밀·콩 공공비축량 확대 등 필요 농정당국 투명한 정보 제공도 코로나19 사태가 글로벌 식량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가 처음 나온 것은 지난 3월 26일 개최된 G20 정상회의. 일부 국가에서 식량 수출 제한 및 중단조치가 잇따르자 유엔식량농업기.. 2020. 4. 28.
농지의 주인은 누구인가 / 21세기 소작제 - 임대차 현황과 문제점 https://m.nongmin.com/news/NEWS/POL/ETC/321871/view 농지의 주인은 누구인가 (2) 21세기 소작제 - 임대차 현황과 문제점 통계청, 2017년 83만㏊ 집계 전체 농지 중 51.4% 달해 농촌 고령화로 면적 지속 증가 임차인 관련 법 규정 없고 구두계약 제재 수단 전무 지주 직불금 부당수령 여전 재촌지주 임대 제한도 문제 전략 1996년 농지법이 시행된 이후 농업경영을 목적으로 취득한 농지는 원칙적으로 임대차가 금지돼 있다. 다만 질병·징집·상속·이농 등 일부 사유에 한해 임대차가 허용된다. 그렇지만 현실적으로 임대차 농지는 전체 농지의 50%를 넘고 농지법상 허용되지 않은 불법 임대차도 상당수에 이를 것이라는 게 농지 전문가들의 얘기다. 1945년 해방 직후 임.. 2020. 4. 28.
코로나19 시대, 농어업·농어촌의 공익적 가치 사회협약이 필요하다!! http://m.hani.co.kr/arti/opinion/because/941665.html?_fr=fb#cb 코로나19와 식량안보, 그리고 사회협약 / 박진도, 대통령 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장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전 인류가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 고통을 당하고 있는 가운데 각국의 실력이 드러나고 있다. 세계가 우리 정부의 코로나19 대응을 칭찬하지만, 그것을 뒷받침한 것은 민주 시민의 연대와 협력에 기초한 높은 시민의식이다. 중략 코로나19로 인한 식량위기 조짐이 여기저기서 나타나고 있다. 농작물의 전 세계 공급량은 충분하다고 하지만 공급망에 문제가 생기고 있다. 우선 러시아를 비롯한 주요 농산물 수출국이 수출을 금지하기 시작했고, 국경·지역봉쇄로 농작물의 선적, 트럭 운송이 제약을 받고 .. 2020. 4. 27.
이런 수준들이 보수라고 하는 게, 국가적인 불행 이런 수준들이 보수를 참칭하여 다른 선택이 없는 게 국가적인 불행 사실 현재 보수정당은 민주당 진보정당은 없음 가짜 매국보수는 꺼져! 2020. 4. 22.
해외 발 ‘식량파동’, 우리 식탁에 고기반찬 사라진다 http://www.ikp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0648 해외 발 ‘식량파동’ 나면 우리 식탁에 어떤 영향 줄까 쌀 소비 줄고, 늘어난 육류·밀은 수입 비중 매우 높아 [한국농정신문 한우준 기자] 전략 한동안 사람들의 관심사에서 멀어졌다가 이번 코로나19 대유행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는 개념이 있으니 바로 ‘식량안보’다. 태국·우크라이나·러시아·아르헨티나 등 주요 식량작물 생산국들이 수출제한 조치를 시작하면서, 이 같은 상황이 식량자급률이 높지 않은 우리나라에 어떤 악영향을 미칠지 주목되고 있다. 우리나라가 식량위기설에서 자유롭지 못한 이유는 바로 최근 30년 간 쌀의 소비량을 조금씩 대체한 밀과 육류의 소비량을 자급률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밀의 경.. 2020. 4. 22.